본문 바로가기
여행스케치

경남여행 | 해인사·최참판댁·남사예담촌과 하동 섬진강 드라이브

by Tommy Life 2025. 7. 1.
경남여행의 해인사·최참판댁·남사예담촌·하동 섬진강 드라이브 코스를 하루 만에 즐긴 실제 동선을 정리했다.
이번 여정은 해인사의 고즈넉한 사찰 풍경, 남사예담촌의 한옥 돌담길, 최참판댁의 소설 <토지> 무대, 섬진강변의 수려한 드라이브 코스를 따라가며 경남의 멋과 맛을 오롯이 담아 보았다.
짧은 하루 일정으로도 경남 명소와 하동여행의 감성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실제 동선을 기반으로 정리했다.

 

해인사 | 한국 불교의 정신과 국보를 만나는 시간

해인사는 합천 가야산 자락에 자리한 천년 고찰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팔만대장경과 장경판전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주차장에서 셔틀버스를 타고 올라가면 경내까지 수월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경내는 대적광전, 해인사 법보전, 장경판전 등 볼거리가 이어진다.
장경판전은 통풍과 보존을 위한 전통 건축기법이 돋보이며, 방문객에게는 안내 표지판과 해설이 잘 정비돼 있어 역사적 의미를 이해하며 둘러볼 수 있다.
대적광전 앞마당에서는 가야산 능선과 절집들이 어우러진 풍경이 한눈에 들어오며, 약 1시간에서 1시간 30분 정도면 경내 주요 구역을 여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

합천 해인사 일주문, 울창한 숲길에 세워진 단아한 사찰 입구
해인사 일주문, 천년 고찰의 첫 관문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과 삼층석탑&amp;#44; 웅장한 법당과 국보급 석탑이 어우러진 경내합천 해인사 범종루&amp;#44; 전통 단청이 아름다운 누각과 대형 범종
(좌) 해인사 대적광전과 삼층석탑, (우) 범종루 - 전통미가 살아있는 법고와 범종
가운데 위치한 대웅전장경판전&amp;#44; 팔만대장경을 보관하는 세계문화유산 전각
(좌) 대웅전, (우) 장경판전 - 팔만대장경의 숨결이 깃든 공간
해인사 경내 전체 안내판사찰내 앞마당의 고즈넉한 모습
(좌) 전체 사찰 안내도, (우) 사찰 중심부 앞마당

하림맛집 | 현지인 추천 로컬 한식당
합천 야로면 내 소박한 로컬 식당에서 해인사에서 다음 행선지 이동길에 간단한 한식 한 끼를 해결했다.
특별한 관광식당이 아닌, 주차 편하고 식사만 간단히 하기 좋은 곳으로, 이동 중 들르기 적합하다.

시골맛집 분위기의 하림맛집 정문구수한 콩국수2021년 기준 메뉴판. 많이 저렴함시골의 정겨운 손맛&amp;#44; 부추전
합천 해인사가는 입구길에 위치한 로컬 손맛집

이동길에 골이 깊은 산자락과 저녁 노을에 어둑해진 하늘의 모습을 찍었는데, 그 모습이 매우 이채롭다.

거창 인근의 계곡의 형상이 특이한 산자락 풍경저녁노을에 물든 하늘
(좌) 거창 인근의 산자락 - 계곡의 형상이 눈에 띄어 찍은 사진, (우) 이동길의 저녁노을에 물든 하늘

남사예담촌 | 고택이 이어지는 전통 한옥마을

남사예담촌은 경남에서 가장 오래된 계획 한옥마을로, 100여 채에 이르는 전통 가옥과 3km 넘게 이어진 돌담길이 유명하다.
마을 골목은 비교적 조용하고 한적하며, 곳곳에 작은 갤러리와 전통 체험 공간, 지역 카페가 숨어 있어 산책하며 들르기 좋다.
봄엔 꽃길, 가을엔 억새와 단풍길이 어우러져 사계절 각기 다른 매력을 느낄 수 있다.

남사예담촌 돌담길, 전통 한옥과 담장이 어우러진 고즈넉한 골목길
남사예담촌 돌담길, 한적한 산책 코스
남사예담촌 전경, 한옥 지붕들이 빼곡히 들어선 마을 풍경
남사예담촌 전경, 한눈에 내려다본 전통 마을
남사예담촌 사효제 향나무&amp;#44; 수령 520년 전통 보호수수려한 자태의 사효제 향나무
수령 520년의 전통 보호수인 사효제 향나무, 효심의 상징
마을의 다양한 볼거리를 안내하고 있는 표지판남사예담촌 거북비&amp;#44; 전통비석과 꽃나무가 조화를 이룬 풍경남사예담촌 마을전경과 흐린하늘의 아름다운 풍광
남사예담촌의 길안내 표지판, 거북비, 마을전경
마을전체 안내판마을내 유림 독립기념관
하회마을과 비슷한 형상을 하고 있는 남사예담촌과 유림독립기념관

스타웨이하동 | 섬진강을 한눈에 담는 모노레일 전망대

스타웨이하동은 짧은 모노레일 체험과 함께 섬진강과 하동 평야를 한눈에 담을 수 있는 전망 명소이다.
모노레일로 5분 남짓 오르면 정상에는 카페, 포토존, 산책길이 잘 조성돼 있다.
전망대에서는 섬진강의 곡선 흐름과 강물의 바깥쪽은 침식, 안쪽은 모래가 퇴적되며 쌓이는 점변사 지형이 뚜렷하게 보인다.
굽이치는 강과 초록빛 평야, 산맥이 어우러져 잠시 멈춰 서서 풍경을 감상하기에 더할 나위 없는 곳이다.

스타웨이하동에서 본 섬진강과 굽이치는 도로 풍경
스타웨이하동 전망대에서 본 섬진강과 도로
스타웨이하동 전망대에서 내려다본 섬진강과 논밭 풍경
스타웨이하동에서 바라본 섬진강과 하동 평야
스타웨이하동 모노레일 상부역사와 카페 건물 전경
스타웨이하동 모노레일 상부역사와 전망대
스타웨이하동에서 내려다본 하동 마을과 산자락섬진강의 굽이치는 모습의 원경
(좌) 섬진강변 마을 전경, (우) 굽이치는 섬진강의 물길
섬진강변의 굽이치는 물줄기점변사 지형이 뚜렷이 보이는 섬진강 모래둔덕
스타웨이 하동에서 바라본 양 방향의 섬진강변, 그리고 퇴적층으로 쌓인 모래둔덕

최참판댁 | 소설 <토지>와 드라마의 무대, 하동 전통문화의 상징

최참판댁은 박경리의 대하소설 <토지> 속 배경을 재현하기 위해 1987년 KBS 드라마 <토지> 제작 당시 조성된 전통마을이다.
드라마·영화 촬영지이자 한국 전통문화 관광지로 발전하며 지금은 박경리문학관, 전통놀이마당, 드라마 전시관 등과 함께 하동을 대표하는 복합문화 공간이 되었다.
초가와 기와집, 전통 담장, 쉼터 고목, 넓은 마당이 어우러져 <토지> 속 시대적 감성과 서민 생활상을 생생히 전한다.
IMF 시기 어려움 속에서도 보존되며 이후 관광 명소로 자리매김했고, 지금도 연간 수십만 명이 찾는 대한민국의 대표 촬영지이자 문화 체험지로 사랑받고 있다.

주차장에서 입구까지 도보 접근이 편리하며, 마을 안쪽에서는 전통 놀이 체험과 문학 해설을 함께 즐길 수 있다.
들판 너머로 펼쳐지는 섬진강 백사장과 백운산 자락 풍경은 시원한 시야를 열어주며 산책 내내 감동을 더한다.

최참판댁 전통 마을, 초가와 한옥이 어우러진 옛 마을 모습
소설, 드라마 토지의 배경무대인 최참판댁 전통 마을 풍경
최참판댁 드라마촬영지 현황의 기록최참판댁 마을풍경최참판댁 마당 중심에 우뚝 선 큰 고목&amp;#44; 쉼터 역할을 하는 나무최참판댁 종합안내도
최참판댁 마을 안내판, 상징나무 및 마을 이모저모
최참판댁 박경리문학관 입구, 전통 한옥 건물과 박경리선생 동상
최참판댁 박경리문학관, <토지>의 흔적을 만나는 공간
문학관내 토지의 작품설명문
대하소설 토지의 스토리텔링
최참판댁 마을 한쪽에 자리한 박경리기념관 전경박경리문학관 유품 전시&amp;#44; 친필 원고와 집필 도구&amp;#44; 생활 소품을 담은 전시 진열장기념관 앞마당의 사랑의 동전이란 연못
좌상부터 시계방향) 박경리문학관 전경, 박경리선생의 주요 유품, 사랑의동전 연못, <토지>의 주요 인물들의 그림

 

평사리 벚꽃길과 섬진강 드라이브 | 하동에서 만나는 자연의 터널

스타웨이하동을 내려와 평사리공원 방향으로 이어지는 길은 벚나무 숲이 도로를 덮은 듯 수려한 자연 터널을 이루며, 드라이브의 백미를 선사한다.
섬진강이 도로 옆을 따라 흐르며 만들어내는 고요한 물빛과 백사장은 운전 중 잠시 멈추어 바라보고 싶을 만큼 아름답다.
봄에는 벚꽃이 만개하고, 여름엔 녹음이 우거져 사계절 각기 다른 매력을 느낄 수 있는 하동의 숨은 명소이다.

평사리 벚꽃길 터널. 여름에는 녹음으로 덮여있음녹음으로 뒤덮힌 하동 평사리 벚꽃길
꽃터널로 더 유명한 평사리 벚꽃길. 여름 녹음으로 뒤덮인 장면도 인상적이다
하동 섬진강변의 강변뷰와 물위에 투영된 하늘 구름섬진강변의 수려한 경관
섬진강 드라이브코스 한쪽 편의 강변의 아름다운 경관

섬진강재첩국 | 섬진강 로컬 별미 점심

섬진강변 식당에서 즐기는 재첩국과 재첩무침은 깔끔한 국물 맛과 고소한 식감이 인상적이다.
강바람 맞으며 간단히 지역 특산물을 즐기기에 제격이다.

 

👉 기존 포스팅 보러가기

 

Tommy의 두번째 이야기

감성카페에서 공간까지 - 삶을 감각적으로 기록합니다

tommy-life2.tistory.com

 

하동여행은 섬진강 드라이브, 최참판댁, 스타웨이하동, 평사리 벚꽃길처럼 자연과 문화가 공존하는 코스가 진가를 발휘한다.
짧은 하루였지만 섬진강 백사장과 하동 전통마을, 드라마 촬영지의 매력을 오롯이 담을 수 있었던 의미 있는 여정이었다.
다음 하동 드라이브 여행에서도 섬진강뷰 맛집과 숨은 명소를 더 찾아보고 싶어진다.